여가부,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발표
우리 국민의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인식이 4년 전에 비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젊은 층이거나 다문화 교육·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높았다.
여성가족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14일 밝혔다.
‘다문화수용성 조사’는 통계청 승인을 받은 최초 정기조사로 전국 19세~74세 성인 4000명과 청소년(122개 중·고교 재학생) 364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등 8개 구성요소별 설문 결과를 종합해 산출했다.
조사 결과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53.95점, 청소년은 67.63점으로 조사됐다.
성인의 경우 지난 2011년 조사 당시 다문화수용성 지수 51.17점 보다 2.78점 상승해 다문화에 대한 생각이 다소 수용적인 방향으로 변화됐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청소년(중·고생) 67.63점, 20대 57.50점, 30대 56.75점, 40대 54.42점, 50대 51.47점, 60대 이상 48.77점으로 젊은 연령층일수록 다문화에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다문화수용성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외국인 노동자를 이웃으로 삼지 않겠다’는 비율이 31.8%로 미국(13.7%)과 호주(10.6%)보다 약 2.5배, 스웨덴(3.5%)보다는 10배가 많았다.
‘일자리가 귀할 때 자국민을 우선 고용해야 한다’는 비율 역시 60.4%로 미국(50.5%), 독일(41.5%), 호주(51.0%)보다 높았다.
또 다문화 교육·행사, 이주민 관련 자원봉사·동호회 등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성인·청소년 모두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게 나타나 다문화 이해교육과 활동 참여가 긍정적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다문화 교육을 한번 받은 성인의 경우 수용성 지수가 56.29점, 두 번 받은 경우 55.13점에 그친데 반해 세 번 이상 받은 경우 수용성 지수가 64.03점으로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외국인·이주민을 친척(55.67점), 친구(58.1점), 직장동료(60.38점)로 둔 경우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직종별로는 단순노무(51.22점), 농림어업(51.83점), 기능·조립(52.96점) 등 외국인·이주민 다수 취업해 있는 업종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이 취약한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 경쟁이나 생활공간 공유 등 상호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여가부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유관부처와 협력, 수용성 취약계층에 다가가는 맞춤형 교육·홍보, 온라인교육 사이트 운영 등을 통한 다문화 이해교육 기회 확대, 청소년 수련시설 등과 연계한 공교육 강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강은희 여가부 장관은 “국내 다문화가족 82만명, 외국인 170만명인 시대를 맞아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이제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문화이해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연령과 직종을 포함한 전 계층에서 다문화가족과 교류와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더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