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 다문화 어린이 편견 심하다

다문화 어린이 적은 반 배치 요구 등

서울시 영유아 인구는 줄었지만 다문화 영유아 비율은 되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육정책에서도 다문화 영유아를 고려한 정책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6일 서울시와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등에 따르면 서울시 영유아수는 2009년 51만1746명에서 2017년 42만9218명으로 약 16.1% 감소한 반면 서울시 외국인 주민 만 0~5세 영유아 자녀수는 2012년 8268명에서 2017년 1만3521명으로 약 63.5% 증가했다. 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서울시 다문화 영유아 수가 2009년 3332명에서 2018년 6950명으로 2배 정도 증가했으며 전체 어린이집 현원 중 다문화 영유아의 비율 또한 2009년 1.7%에서 2018년 3.1%로 증가했다.

이처럼 다문화 영유아들이 늘어남에 따라 초기 한국어 및 정체성 교육이 절실하지만 현장의 실정은 미흡하다.

다문화 영유아가 늘어나면서 비다문화 부모들이 어린이집을 다니기 싫어하고 다문화 영유아 비율을 묻고 다문화 영유아가 낮은 반으로 배치해달라는 요구, 중국인 담임을 바꿔달라는 요구 등 부모들의 편견 때문에 다문화통합 보육이 내실 있게 운영되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 어린이집 교사는 “일부 한국 부모들은 다문화 아이들과 같이 다니고는 있지만 섞여서 무언가를 하는 걸 안 좋아한다”며 “오죽하면 한국 할머니는 다문화 아동을 보고 꺼려하기도 한다”고 했다.

결국 비다문화 영유아 부모·가족의 편견 때문에 다문화보육 관련 교육·프로그램 활성화가 더욱 필요한 셈이다. 부모의 눈치, 관계 때문에 개별 어린이집에서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부모 교육을 진행하기 어렵다면 지역사회 내에서 그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정어린이집 등 특히 더 열악한 어린이집은 각종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가 함께 부모 인식개선 프로그램 진행을 지원해주는 체계가 필요하다.

서울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다문화 영유아 24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문화 영유아들의 한국어 능력은 ‘상’인 경우가 47.7%로 가장 많았다. 다문화 영유아의 한국어 능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사회적 편견과는 달리 다문화 영유아의 한국어 능력이 또래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관계자는 “소수이긴 하지만 다문화 영유아 교육을 외면한다면 초·중등 교육 과정으로 진학할 때에는 더 큰 비용을 치르게 되고 결국 사회 통합에도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거부감을 극복하기 위해 미취학 영유아의 교육과정에서부터 다문화 교육이 강조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옥경 기자>